A+/지역사회간호학/미세먼지/환경보건/느낀점/정책/해결법/한계점/간호학과

목차

1. 서론

2. 본론
1) 미세먼지
2) 기준
3) 인체에 미치는 영향
4) 원인
5) 정책
6) 현재보다 높은 과거의 미세먼지 농도
7) 논란

3. 결론
1) 요점 정리
2) 해결방법 및 한계점
3) 반성 및 교훈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고자 수업 시간에 배웠던 재난에 대해 복습해보았다. 자연적 재난에는 우리가 흔히 떠올릴 수 있는 태풍, 가뭄, 홍수 등이 있었고 사회적 재난에서 눈에 띄는 것은 미세먼지였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분류한 1급 발암물질 113가지에 미세먼지가 포함된다. 그리고 2019년 정부는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자 재난안전법을 개정해 미세먼지를 사회적 재난에 포함시켰다.

예전에는 오늘 날씨가 추운지, 비가 오는지 확인했다면, 지금은 오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지, 낮은지도 확인해야 하는 세상이 되었다. 최근 3년간 우리가 코로나에 스며들어 살아왔듯이 나는 미세먼지가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미세먼지가 위험하다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어떤 위험이 있는지, 인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고, 눈으로 나타나지 않아서 실감이 나지 않는다. 이 사진은 2023년 4월 21일 내가 미세먼지를 처음으로 심각하다고 느끼고 직접 찍은 사진이다. 당시 시간은 오후 5~6시쯤이었고 해가 질 시간대는 전혀 아니었다. 사진으로 담기 어려웠지만 세상은 노랗기보다는 너무나도 뿌옜다. 에어코리아 2023년 4월 21일 부산 사하구 당리동 결과에 따르면 초미세먼지 농도는 17시 52㎍/㎥ , 18시 59㎍/㎥ 이며 미세먼지 농도는 17시 219㎍/㎥ , 18시 336㎍/㎥ 이었다. 금일 20시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609㎍/㎥ 까지 올라갔다.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모두 ‘매우나쁨’ 수준이다. 평소 하늘이 뿌였다고 해도 잘 인지하지 못하며 미세먼지가 심한 날도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해 마스크의 필요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지내왔다. 그런데 이 날은 내가 처음으로 마스크를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든 날이었다.
요즘에는 초등학교에서 미세먼지가 높은 날 운동장이 아닌 실내 스크린 축구장을 이용하여 축구를 한다고 한다. 이렇게 환경적인 변화를 통해 어린 아이들도 인지하게 되는 미세먼지이지만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