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백신요법과 능동면역, 수동면역의 비교
2. 백신의 종류와 장단점
3. 코비드 팬데믹으로 알아보는 각 백신의 비교 및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과거에서부터 페스트, 천연두, 장티푸스, 콜레라, 결핵 등 많은 전염병이 인류의 발전과 더불어 진행되어왔다. 전염병이 한 지역에 발병하면 빠르게 확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그 위험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전염병의 감염을 막기 위해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백신은 천연두 백신이다. 천연두 바이러스는 Variola 바이러스라 불리는 DNA 바이러스로, 발진과 고열, 가려움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이다. 주로 호흡과 기침 등 공기를 통해 감염되는 형태이기에 그 전염성 또한 매우 높았다. 이러한 전염병에 인류가 고통받아갈 때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우연히 주로 소들이 걸리는 우두에 감염된 사람들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해당 바이러스를 약화해 사람에게 감염시킴으로써 사람들을 천연두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었다. 이는 천연두 바이러스로부터 인류를 구한 최초의 백신이다. 이렇듯 인류가 심각한 감염병에 노출되었을 때 백신을 통한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새로운 감염병이 출몰하여도 인류는 그에 걸맞은 적절한 백신을 개발해오며 인류의 보존을 유지하는 중이다.
따라서 해당 과제에서는 이러한 바이러스와 세균과 같은 병원체에 대한 백신요법,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에 대해 알아보고, 백신이 어떻게 우리의 몸을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단백질, RNA, DNA 백신의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인류에게 발생할 전염병의 예방에는 어떠한 종류의 백신이 더 유리할지 내 생각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백신요법과 능동면역, 수동면역의 비교
(1) 백신요법
백신요법이란, 병원체의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을 주입하여 후천성 면역의 2차 반응인 기억 형성을 유도하여 다시 해당 병원체의 항원에 재감염되었을 때 1차 반응에 비해 신속하고 강력한 면역반응을 일으켜 병원체로부터 우리의 몸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