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담배의 유해 성분
2) 흡연 관련 질환
3) 간접흡연
2. 금단증상
1) 정의
2) 주요 증상
3. 금연보조요법
1) 니코틴 대체 요법
2) 효과
3) 주요 용법
본문내용
1) 담배의 유해 성분
① 담배에 포함된 여러 독성물질, 발암물질은 담배 연기를 통해 폐에 들어가게 되며 몸의 모든 세포, 장기에 피해를 미침. 신체 중 잇몸 또는 기관지 등은 직접 작용하면서 표피세포 등의 파괴 또는 만성 염증을 발생시킬 수 있음.
② 일산화탄소(CO) : 담배 연기를 통해 형성된 가스로서 산소와 비교했을 때 혈색소에 100배 정도 잘 결합하는 특성으로 혈액 내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며 흡연자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
③ 니코틴 : 담배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학 물질로 담배가 연소하면서 니코틴은 연기로 변화함. 니코틴은 중독성으로 인해 금연을 어렵게 하고 빠른 심장 박동, 혈압을 상승시킴.
2) 흡연 관련 질환
① 전 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사망한 원인 중 암이 33%, 그 외 호흡기계 질환은 26%, 심혈관 질환이 29%, 소화기계 질환이 3%, 당뇨 2%, 하기도 감염 2%, 결핵 1% 순으로 나타남(보건복지부, 2017).
② 심혈관 질환 : 담배 속에 포함된 타르, 일산화탄소로 인한 동맥 내벽 장기적 손상, 염증반응 물질 생성으로 인한 동맥경화, 동맥 경화반으로 인한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 위험,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 등의 질병 가능성이 높아짐.
③ 만성폐쇄성폐질환 : 담배로 쉽게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만성적 기침, 가래, 호흡곤란, 만성폐쇄성폐질환 발병 위험도를 높임.
④ 암 : 담배가 타면서 발암물질이 발생하며 구강, 후두, 식도, 폐에 접촉하여 관련 암이 생길 수 있음. 발암물질이 혈액을 돌아다니면서 위, 간, 방광, 자부경부 암 등을 유발시키기도 함.
3) 간접흡연
① 강제적 흡연을 의미하며 발암물질, 유해 화학물질이 높은 농도로 포함된 부류연에 쉽게 노출됨.
② 간접흡연 노출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폐암, 관상동맥심질환,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여성은 저체중아 출생률이 높아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