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2. 조현병의 발병
3. 가족들의 고통
3. 정신장애인의 사랑
4. 퇴원 후 사회로의 복귀
본문내용
TV를 보면 흉악범죄를 저지른 범인들이 자신의 감형을 위해 조현병이나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 치료를 받았다는 확인서를 증거로 제출한다. 그로 인해 대중들은 마치 조현병 환자들이 주요 흉악범죄를 저지르는 범죄자처럼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조현병 환자들이 망상 등을 이유로 살인이나 폭행을 하기도 하지만, 실제 조현병력이 범죄에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범죄의 0.1% 수준이라고 한다. 얼굴을 공개하고 인터뷰를 하는 환자들은 이 방송이 이러한 오해를 푸는 계기가 되기를 바랐다. 기존에는 조현병을 정신분열증이라고 불렀으나, 현재는 현악기의 줄을 조율하는 과정과 같은 변화라는 의미를 담은 조현병이라고 부르고 있다. 조현병의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스트레스나 심리적ㆍ환경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