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레포트

목차

1. 다제내성균이란?
2. 다제내성균감염증 분류
3. 다제내성균감염증 진단 및 검사
4. 다제내성균감염증 치료
5. 다제내성균감염증 예방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1. 다제내성균이란? >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이라 한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등 6가지다.
< 2. 다제내성균감염증 분류 >
①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정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메티실린(Oxacilline) 및 그 밖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포도알균으로 인한 감염증이다.
[원인]
포도알균은 사람의 피부나 구강인후점막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으로 항암제 치료를 받는 환자, 수술을 받은 환자,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장기 이식환자, 노인, 면역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등에서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감염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