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심정지란
2.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 및 심폐소생술 현황
3. 심정지 생존사슬 5단계
4. 심폐소생술의 시행
1) 의식확인
2) 119 신고
3) 호흡과 맥박의 확인
4) 가슴압박 *심폐소생술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
5) 인공호흡
5. 가슴압박 소생술
6. 기도폐쇄
7. 회복자세
본문내용
< Ⅰ. 심정지란? >
심정지란 심근경색, 고지혈증, 당뇨, 과로, 흡연과 약물중독, 기도폐쇄, 감전 등의 원인으로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특히 무질서한 전기활동으로 심장근육의 수축⦁이완의 규칙성을 깨뜨리는 심실세동과 매우 빠른 전기활동으로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실빈맥은 급성 심정지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 Ⅱ.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 및 심폐소생술 현황 >
질병관리본부가 밝힌 통계 결과, 심정지 발생률은 2006년~2017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6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생존율은 약 1.9~3.3배, 뇌 기능 회복율은 약 2.8~6.2배로 높아진다. 따라서, 우리는 심정지에 원인이 될 수 있는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에 대해 정확히 익혀 골든타임 4분을 놓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