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지역사회간호학실습 A+ 모자보건사업 사례연구보고서

목차

1. 서론
1)연구의 필요성

2. 본론
1)문헌고철: 모자보건사업
2)사례
3)사정도구: 가계도, 밀착도, 외부체계도, 사회지지도
4)간호진단
5)목표설정
6)방법 및 수단의 선택
7)계획 및 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헌고찰 : 모자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의 정의
①여성의 건강유지와 육아대한 기술을 터득하여 정상 분만과 건강한 자녀를 갖도록 하며 예측 가능한 사고나 질환, 기형을 예방하는 사업이다.(WHO)
②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의 생식건강관리와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 정신 적, 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이다.(모자보건법)
●목적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건강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여 모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국민건강 수준을 유지 증진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
– 지역사회 건강수준을 증진시키는 것 중 하나로 모성건강을 유지한다.
– 임신과 분만에 수반되는 모든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인다.
– 다음 번 임신에 대한 준비를 하도록 한다.
– 신생아 사망률을 줄인다.
– 불임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모자보건사업의 범위
:임신에서부터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학령기, 사춘기 그리고 생산기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문제를 포함한다.

●모자보건사업의 대상
①모성인구 -> 넓은 의미: 초경에서 폐경에 이르는 모든 여성
좁은 의미: 임신, 분만, 산욕, 수유기의 여성
②아동인구 -> 넓은 의미: 생후부터 15~18세까지의 남녀
좁은 의미: 생후부터 미취학 아동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