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염(encephalitis)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뇌염(encephalitis)이란 뇌 실질의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말로서 뇌를 싸고 있는 뇌수막에 생기는 염증(뇌수막염)과는 다른 질환이다. 뇌수막염과 뇌염이 함께 있는 경우는 이를 수막뇌염이라고 한다. 뇌염은 원인에 따라 감염성, 혈관염성, 종양성, 화학성, 특발성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 세부 항목에 따라 구체적인 병인에 대한 뇌염에 대해 다시 분류를 할 수 있다(가령, 뇌염>감염성 뇌염>감염의 원인균이 결핵일 경우 결핵성 뇌염). 또 질환의 시간적 경과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 뇌염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2) 원인 및 관련요인
 뇌염(encephalitis)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의해 발생되는 뇌실질 조직과 뇌수막의 급성 감염이다. 바이러스성 감염이 단연코 가장 흔하며, 특징적으로 절지 동물 바이러스인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나 단순포진에 의해 발생한다. 아르보바이러스성 뇌염은 혈액을 빨아먹는 매개물인 곤충(예: 모기, 진드기)에서 다발하는 아르보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고 곤충에게 물림으로써 인간에게 전염된다. 아르보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은 특징적으로 계절성이 있고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따라 토착성의 다양한 바이러스가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Eastern equine 뇌염, 일본 뇌염, LaCross 뇌염, St.Luis 뇌염, West Nile 바이러스 등이며, St.Louis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다.
 단순포진Ⅰ바이러스는 급성 비유행성 뇌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단순 포진바이러스성 뇌염은 전세계적으로 어떠한 연령에서도 발생하지만, 특히 중년기에 호발한다.
3) 병태생리
 뇌염은 울혈과 부종을 초래하는 뇌막과 뇌실질 세포에 광범위한 염증을 일으킨다. 이것은 수초와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