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사례보고서)_EICU_급성신부전(ARF, Acute renal failure)_간호과정_비효과적 기도청결_감염위험성_피부통합성장애

목차

1. 환자의 일반적 사항
2. 신체사정(자세합니다.)
3. 문헌고찰(+대상자와 비교)
4. 진단검사(검사수치와 임상적의의 기재했습니다.)
5. 투여 약물(자세합니다.)
6. 간호 자료(V/S, 통증사정, I/O&체중, BST, 욕창&낙상, GCS)
7. 간호진단(우선순위에 따라)
8. 간호과정(이론적 근거O, 간호수행 자세합니다.)
9. 참고문헌
10. 실습 후 느낀점

본문내용

입원 진단명: acute renal failure(급성 신부전)
주호소: mental change (Stuporous)

입원 경위
2023.05.21. AM8:00 경 mental change 발생하여 local 경유하여 본원 ER 통해 EICU 입실함. 2일전부터 힘이 전반적으로 빠진 모습을 보임(보호자). ARF(급성신부전)와 pneumonia을 보여 EICU 입원함.

과거력(진단받은 질환)
1. HTN(고혈압)
2. DM(당뇨병)
3. (2003년)old CVA(오래된 뇌졸중)
4. (2018년)Dementia(치매)

입원 전 복용 약물
1. 고혈압 약물(OO병원 처방)
2. 당뇨병 약물(OO병원 처방, pen insulin)

<중략>

문헌고찰
질환명: 급성 신부전(ARF; Acute renal failure)
원인 및 병태생리
문헌
1. 원인
급성 신부전은 BUN과 혈청 크레아틴 수치가 상승하면서 갑작스럽게 신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급성 신부전은 신전성(prerenal), 신성(intrarenal), 신후성(postrenal)로 분류된다. 급성 신부전의 55~70%는 혈류량 저하, 심박출량 감소와 협착이나 폐쇄로 인한 맥관장애와 같은 신전성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신부전의 25~40%는 신성으로 신장조직과 구조의 손상 및 세뇨관 괴사, 신독성, 신혈류량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신후성은 보통 신장과 요관에 이르는 요로계의 폐색으로 인해 발생한다.

전신성(prerenal)
• 저혈량증: 출혈, 탈수, 구토, 경화증, 설사, 부적절한 이뇨제 사용, 발한, 화상, 복막염, 췌장염
• 심박출량 감소: 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 심장압전, 율동장애
• 전신성 혈관확장: 패혈증, 산증, 혈관이완 약물, 아나필락시스
• 저혈압 혹은 저관류: 심부전, 신내성 쇼크(내인성)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