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_성인실습4_A+ 무기폐 간호과정

목차

Ⅰ.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Ⅱ. 건강 사정 도구(NANDA)
1. 일반적 사항
2. 건강사정
3. 과거력

Ⅲ.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폐는 폐포압과 대기압의 차이로 인해 흡기 시 횡경막이 복강 쪽으로 하강하며 폐포압보다 대기압이 커지며 팽창되고, 호기시 횡경막이 흉곽쪽으로 상승하며 폐포압이 대기압보다 작아지며 수축한다. 이러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폐동맥으로 들어온 산화되지 않은 혈액은 폐포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을 통해 폐정맥으로 이동하며 전신으로 순환된다.

1. 무기폐(atelectasis)
무기폐(atelectasis)는 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어떠한 이유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허탈되어 공기가 없거나 줄어든 상태를 말한다. 질환이라기 보다는 폐렴, 기관지염, 결핵, 장기간의 침상 안정 등 숨을 제대로 내쉬지 못해 분비물 쌓이고 기관지가 폐쇄되어 하부의 폐조직이 허탈되는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무기폐에 진단, 치료 등은 원인 질환에 따라 상이하다.

2. 원인
주원인은 분비물, 종양에 의해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인 기관지가 폐쇄와 흉막삼출액, 수술, 부동과 같이 깊게 숨을 쉬지 못하는 상황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깊게 숨을 쉬지 못하고 얕은 숨만 반복적으로 쉬게 된다면 폐로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이 얕아지며 폐의 분비물이 축적되고, 감염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무기폐가 발생할 수 있다.
– 부동
– 흡입마취와 호흡을 억제하는 복부 수술이나 흉부 수술
– 심호흡을 방해하는 질환(예: 제한성 폐질환, 혼수, 흉벽외상, 신경근육성 장애)
– 폐조직을 억압하는 흉막삼출액
– 폐조직을 억압하는 폐실질의 장애(예 : 폐농양, 폐종양)
– 기관지확장증
– 과량의산소(산소 독성)
– 위내용물이나 이물질의 흡인
– 정상호흡을 방해하는 과도한 진정제 사용

3. 병태생리
기관지에 형성된 분비물이 기도를 막으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혈증으로 흡수되기 시작하며 폐포가 허탈되어 무기폐가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