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A. 유아 미술능력의 발달
1. 미술표현 발달단계
1) 로웬펠드
(1) 끼적이기(2~4세)
(2) 전도식기(4~7세)
(3) 도식기(7~9세)
2) 켈로그
(1) 패턴단계(1~2세)
(2) 도형단계(2~3세)
(3) 디자인단계(3~4세)
(4) 초기회화단계(4~5세)
(5) 유아의 그림 발달과정
2.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발달
1) 가드너의 감상능력 발달단계
(1) 지각의 단계(0~2세)
(2) 상징인식의 단계(2~7세)
(3) 사실적 단계(7~9세)
(4) 탈사실적 단계(9~13세)
(5) 예술적 위기(청년기)
2) 하우젠의 미적 발달단계
(1) 설명단계
(2) 구성단계
(3) 분류단계
(4) 해석단계
(5) 재창조단계
B. 관련 논문:
박선영, 박은선(2020). 놀이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영향.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논의 및 제언
<토론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관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발달하지만 하나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되는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교사는 유아의 발달단계를 수용하고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도록 적합한 미술 경험을 제공하고 격려하며 기다려 주어야 한다. 교사가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발달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로웬펠드, 켈로그와 김정이 제시한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발달단계와 로웬펠드, 이규선 등과 이길종이 제시한 유아의 입체표현능력 발달을 살펴보고, 가드너와 하우젠이 제시한 미술감상능력 발달을 살펴본다.
A. 유아 미술표현능력 발달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은 순서에 따라 발달하지만, 하나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되는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유아의 수준이 미술발달단계를 따르지 못한다고 하여 특정 미술활동을 강요할 필요는 없다. 이 때 교사는 유아의 발달단계를 수용하고,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도록 적합한 미술경험을 제공하고 격려하며 기다려 주어야 한다.
1. 미술표현 발달단계
1) 로웬펠드
(1) 끼적이기(2~4세)
– 난화(亂畵)
– 대략 2세부터 시작된 끼적이기는 모든 문화권의 유아 그림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형태
– 이후의 미술표현에 중요한 기초가 됨.
– 그리고자하는 대상이 있어서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리는 자체가 목적이고 즐거움
■ 무분별한 끼적이기
– 끼적이기 초기 단계에서 유아는 선을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그림.
– 크레용을 쥐는 방법에 따라 다른 그림 표현
– 근육을 잘 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팔을 휘두르면서 반복적으로 끼적이기
– 의도적으로 그리려고 하기보다는 끼적이는 행동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고 즐거워 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