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유해방사선 자료조사 (발생기전, 사례, 예방 등)

목차

1. 발생사례

2. 발생기전

3. 건강에 미치는 기전

4. 현황

5.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6. 승무원에 대한 안전조치

7. 개인적 노력

8. 방사선 작업자 필수 안전수칙
1) 방사선 측정
2) 방사선 위험표지 설치
3) 안전관리 장비의 휴대 및 사용(개인, 공용)
4) 선원의 보관 철저
5) 안전관리 교육 내용대로 실행한다.

9. 방사선 안전관리 수칙

본문내용

발생사례

항공 승무원들의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2-5 mSv 정도로, 방사선 관련 의료기관 종사자(0.05 mSv),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0.58 mSv) 등 다른 직군의 방사선 관련 작업종사자에 비해서 방사선 노출량이 많다(4,5). Tokumaru 등(6)의 메타분석 연구는 항공기 승무원들의 악성 흑 색종과 유방암의 위험이 다른 직군의 여성들에 비해 각각 213%와 41% 높다는 것을 보고하였 고, 항공기 승무원들의 암 발생 증가의 원인을 우주 방사선으로 추정하였다. 유럽의 비행 조 종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악성 흑색종, 피부암, 전립선암의 원인으로 우주 방사선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백혈병 사망 항공 승무원…’방사선 피폭 산재’ 첫 인정 / JTBC 뉴스룸

백혈병에 걸린 승무원 (1)

백혈병에 걸린 승무원 (2)

발생기전

방사선에 피폭되는 형태에는 오염(contamination)과 조사(iradiation)가 있다.
(1) 오염은 먼지나 액체 등의 방사성이 있는 물질과 접촉 후 오염된 것을 말하며 외부 및 내 부오염으로 나눌 수 있다. 외부 오염은 방사선에 피부나 옷이 오염된 경우이며, 내부오염은 방사성 물질 섭취를 하거나 흡입 또는 피부를 통해서 체내로 들어온 것을 말한다. 체내에 들 어온 방사성 물질은 다양한 조직(갑상선이나 골수)으로 이동하고 방사성 물질이 제거 혹은 소 멸될 때까지 계속해서 방사선을 방출한다. 내부오염은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2) 조사는 방사선에 노출될 때 방사성 물질이 아닌 것에 노출된 경우를 말한다. 방사선 노출 은 방사선 원천(source)이 없어도 일어날 수 있다(방사성 물질, X-선장비). 방사선 원천이 제 거되면 노출도 끝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