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간성뇌증 간경변증 환자 lactulose enema (락툴로즈 관장, 락툴로오스 에네마)

목차

1. lactulose enema의 약리작용
2. 적응증
3. 적용 방법 및 이론적 근거
4. 간질환자에게 적용 시 주의사항 및 고려사항
5. 효과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 위장관의 출혈은 위장관에 단백질 부하를 불러오므로 이를 예방하고 출혈 이 발생한다면 락툴로오스 관장을 실시하여 위장관에서 혈액을 빨리 제거해 야 한다.
– 락툴로오스는 비흡수성 이당류로 삼투압을 형성하는 물질이다. 삼투성 설사 를 유발하여 장내 암모니아를 끌여들여 변으로 제거되는 암모니아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장세균에 의해 유기산으로 쉽게 대사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 유기산은 장내 환경을 산성으로 변화시킨다. 암모니아를 암모늄이 온으로 바꾸어 이온화시키면 장내 흡수가 어려워져 암모니아 생성이 감소하 게 된다.
– 암모니아를 형성할 수 있는 장내 물질을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삼투성 하 제의 하는 역할을 비흡수성 이당류인 락툴로오스(lactulose, β -galactosidofructose)는 간성뇌증 치료의 중요한 근간이다. 락툴로오스는 하 제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대장 내 pH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데, 장내 세균에 의해 초산과 젖산으로 분해되어 장을 산성화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