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PTBD 경피경간담도배액술 간호, 중심정맥관 특성

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서 담관의 폐색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담도가 폐쇄되어 담즙이 저류되는 경우, 흔하게 황달이나 화농성 담도염, 담낭염, 심한 경우 패혈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저류된 담즙을 체외를 배액시켜 늘어나고 압력이 높아진 담도를 완화하기 위한 시술입니다. 피하를 통해 가느다란 배액관을 담도까지 삽입하여 담즙을 체외로 배액시키거나 담석을 제거, 협착 부위 확장을 위한 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이 방법으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쉽게 통과시켜서 황달과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검사 전 간호
· 6-8시간 이상 금식
· 시술 및 진정동의서
· 18G IV 확보 + 수액 준비
· 진정제, 진통제(PRN)
· 복용 약물 확인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 알레르기 여부 확인 (조영제)

(2) 검사 후 간호
· 활력징후 확인
· 배액양상 확인 : 양, 색깔
· 배액관 개방성 유지 : 관이 막히거나 꼬이거나 당기지 않게 하고, 삽입부위보다 낮은
곳에 배액주머니 고정
· 출혈 및 통증 확인 : 약 1주일 정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교육
· 시술부위 관찰 : bleeding, oozing, redness, pain 등
· 합병증 관찰 : 패혈증, 담즙유출, 출혈, 담관의 재폐색
-> 열, 오한, 담즙배액 양상, 활력 징후 변화, 통증, 황달의 증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