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남자 같은 경우에는 회사에서 눈치를 봐서 육아휴직을 거의 못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가 애를 낳겠는가 낳게 돼도 하나를 겨우 낳든가?
둘 낳는 가정은 거의 없어서 애 둘 낳는 가정이 다자녀 가정이 돼가는 현실이다.
이런 모순을 해결해야 한국 사회에서 돈 걱정, 직장 걱정 없이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것이다.
여성들의 경우 고학력, 고 소득 직장을 다닐 수 있는 여성들이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출산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직장을 떠나게 되어 경력 단절에 처할 수 있어 이는 국가 경제상으로도 상당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저출산 시대의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황이 일어났다.
작년 가계소득의 증가를 이끌었던 지표는 공적 이전소득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