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세균성장염(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이론적 근거 완벽, 간호진단 3개, 과정 3개 하나당 5장 이상, A+보장)(교수님의 극찬을 받은 케이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3. 본론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신체검진 결과
3) 임상 검사
4) X-ray 및 특수검사
5) 사용약물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4. 결론
1) 배운 점 및 느낀 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문헌고찰
1. 정의
장염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고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감염성 장염의 경우 여러 바이러스(노로 바이러스, 로타 바이러스), 세균(콜레라, 대장균, 이균, 장티푸스, 에르시니아, 캠필로박터), 원충(아메바) 등이 있다. 비감염성 대장염에는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방사선성 대장염, 허혈성 대장염, 베체트 장염, 약제유발성 장염이 있으며, 이 질환의 원인으로는 방사선 노출, 장으로 가는 혈류의 감소, 약물 복용, 기타 기저질환 등이 있다. 장염의 감염성 원인에서 바이러스는 50~70%, 세균은 15~20% 정도 차지한다.
급성 세균성 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균과 독소들로는 콜레라를 유발하는 비브리오 콜레라균(Vibrio cholerae), 이질을 일으키는 이질균(Shigella), 장티푸스를 일으키는 살모넬라 타이피균(Salmonella Typhi),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emolyticus),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장독소, 황색포도알균이 증식하여 만들어내는 장독소, 바실루스 세레우스균이 만들어내는 장독소,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장출혈성대장균 등이 있다.

(1) 살모넬라균(Salmonella groups)
– 피막화 및 아포형성을 하지 않는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6~72시간 동안 잠복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