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 칭찬 받은 A+ 정상신생아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환아의 일반적 사항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1) 정상 신생아의 정의
2) 정상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1) 체온 조절
(2) 피부계
(3) 감염에 대한 방어
3) 신생아 홍반

3. 간호사정
1) 간호력
(1) 일상생활력
(2) 출생력
(3) 건강력
(4) 투약
(5) 검사 및 처치
(6) 신체사정
(7) 신생아 재태기간 사정
2) 간호진단 및 목표설정
(1) Nursing Problem & Cue Grouping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환아의 일반적 사항
– 성명: 장00 아기
– 성별: female
– 재태연령: 39+0주
– 출생체중: 3600g
– 생년월일: 2024년 02월 04일
– 현재연령: 4일
– 분만형태: C-sec
– apgar score: 1분 8점/ 5분 9점
– 진단명: singleton, born in hospital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1) 정상 신생아의 정의
신생아란, 태아가 모체에서 떠난 순간부터 임신·분만의 영향이 사라지고 태외생활로의 적응과정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에 있는 소아를 말한다. 보통 생후 28일 미만을 신생아기하고 말하며 특히 생후 1주일간은 신생아기의 특징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신생아는 태어날때의 호흡의 개발로 난원공 동맥관이 기능적으로 폐쇄하고 태아형 순환에서 성인형 순환으로 이행한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태변 배설이 있고 4일째 무렵까지에 유변(乳便)으로 이행한다. 또 5~10%의 생리적 체중감소를 보게 된다.

2) 정상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1) 체온 조절
호흡이 완성된 이후, 신생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것은 체온조절이다. 신생아의 열 생산능력이 적절할지라도 신생아는 다음의 세 가지 요인으로 인해 과도한 열 손실이 발생할수 있다.
신생아는 넓은 체표면적으로 인해 열 손실이 쉽게 일어난다. 신생아는 피하지방층이 얇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보온능력이 취약하다. 신생아가 열을 생산하는 기전은 떨림이 아니라 비떨림 열발생을 통해 열을 생산시킨다. 이는 신진대사와 산소소비를 증가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