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관련이론
4. 시약 및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논의 및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주제
: 과산화수소 농도 측정
2. 실험 목적
: 와 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구한다.
3. 관련 이론
1) 산화-환원 반응의 개념
산화-환원 반응은 두 화학 종 사이의 전자 이동을 포함하는 화학 반응이다. 전자를 얻거나 잃음으로써 분자, 원자 또는 이온의 산화수가 변화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이지만 광합성이나 호흡과 같은 생명 현상에 필수적인 화학 반응이며, 연소 및 부식과 같은 공정에도 사용된다.
이때 산화-환원 반응의 개념은 3가지의 방식으로 정의가 가능하다.
① 전자 이동의 관점
산화는 전자의 손실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며, 환원은 전자의 획득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위 반응식에서 산소 이온을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구리 이온은 전자를 얻어 환원되었고, 마그네슘은 전자를 잃어 산화되며 마그네슘 이온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산소 전달의 관점
산화는 산소의 획득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며, 환원은 산소의 손실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위 식에서 산화구리는 산소를 잃어 구리를 형성(환원)하며, 마그네슘은 산소를 얻어(산화) 산화 마그네슘을 형성한다.
③ 수소 전달의 관점
산화는 수소의 손실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며, 환원은 수소의 획득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위 반응식에서 암모니아는 수소를 잃고(산화) 질소를 형성하며, 브롬은 수소를 얻어(환원) 브롬화 수소가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