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실험(1) 흡착평형 상수의 측정 결과레포트

목차

1.실험주제
2. 실험목적
3. 실험관련 이론
4. 실험시약 및 장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1. 실험주제: 흡착평형상수의 측정

2. 실험목적
: 일정한 온도에서 용질농도의 함수로 수용액과 활성탄 표면 사이에서 유기산의 평형상수를 결정한다.

3. 실험 관련 이론
(1) 노르말 농도[N]: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 1ℓ의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를 나타낸 농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는 규정 농도 또는 당량 농도라고도 한다.
– 당량: 화학량론적으로 각 원소나 화합물에 할당된 일정한 물질량
(1) 산의 형태, 1 mol의 산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수소 이온의 몰수를 의미한다.
(2) 염기의 형태일때, 1 mol의 염기와 반응할 수 있는 수소 이온의 몰수이다.

– 노르말 농도는 주로 ① 산·알칼리의 중화반응
② 산화제와 환원제의 산화-환원반응의 계산
③ 화학반응 등에 주로 아용된다.
또한 화학적 성질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한 용액에서 다양한 이온 농도들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 또한 같은 물질이라도 화학반응에 따라 g당량수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농도의 표시법으로서는 모호하다는 단점이 있다. 몰수만을 고려하는 몰농도와 몰랄농도와는 달리 한 분자가 제공 가능한 수소이온의 개수와 수산화이온의 개수를 표현함으로써 겉보기가 아닌 실제적인 산 ‒염기의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