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담낭염 간호과정 케이스 14page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사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 요약
진단명: acute cholecystitis (급성 담낭염)
45세 남성 김OO님 극심한 복통 및 구토 증상으로 본원 응급실 통해 내원함.
현재 elert 상태
8.5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복강경담낭절제술) 시행

Acute cholecystitis (급성 담낭염)
Ⅰ. 문헌고찰
Ⅰ. 정의 및 원인
➀ 담낭 (gall bladder)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도 부르는 장기로,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7-10 cm 길이의 주머니, 용적은 30-50ml
-공복 시에는 증가하고 식후에는 담낭의 수축작용으로 용적이 감소한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시키고 저장하는 역할,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이동시키며 인체가 섭취한 지질의 소화,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➁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 담낭벽의 염증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관이나 통로 등이 좁아지는 것)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은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 외에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등과 관계가 있다. 환자의 5~10%는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수술시 담관을 폐쇄시키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➀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원인
주요 위험 요인은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이다. 환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 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➁ 만성 담낭염 (Chronic cholecystitis) 원인
급성 담낭염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급성 담낭염과는 독립적으로 발병하기도 하며 대부분이 담석과 관련이 있다. 주로 중년층, 비만에게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높게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