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윤리_마이시스터즈키퍼와 생명윤리

목차

I 서론
① 보고서를 작성하는 이유

II. 본론
① 영화 속 '맞춤형 아이'의 정의
② 생명윤리 원칙 위배 사
③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생명윤리 규칙
④ 환자의 치료 중단

III. 결론
① 생각정리 및 논의점, 비판

본문내용

현대 사회의 과학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새로운 윤리적 논쟁들이 발생하고 있다. 의학적 치료과정에서 의도된 생명과학 기술의 개입은 난치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환자의 건강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한편으로 인위적인 조작을 통한 생명의 탄생은 자연의 질서에 위배 되며 예기치 않은 부작용으로 인해 무고한 피해자가 생길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윤리적 논쟁들 사이에서 명쾌한 답을 얻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윤리적 쟁점을 인식하고 최선의 해결책을 찾는 과정을 통해 새롭게 발생하게 될 윤리적 문제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중 략>

‘안나’는 부모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존재이지만, 그녀는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전달할 능력과 권한이 있으며 타인의 자율성 또한 존중할 수 있는 존재다. 또한, ‘안나’는 자기 몸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며 그것은 부모라고 할지라도 함부로 침해할 수 없는 권리에 해당한다. 이는 곧 인간의 존엄성과 연결되며 기본적인 생명권을 지키려는, 당연한 권리를 누리려는 모습과도 연결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