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서론
2.시약 및 실험 방법
3.실험결과 및 고찰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 계산화학:
계산화학은 화학 전체를 크게 나누는 분류 중 하나인 물리화학 분야에 속하는 이론물리화학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 수식 및 모형(Theoretical Model) 자체를 연구하는데 집중하는 전통적인 이론화학이라기보다는, 이론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인 분자에 적용하여 모사실험(Simulation experiment)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계산화학 분야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화학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분자모형은 분자의 구조를 눈으로 보면서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모형을 대표한다. 숙련된 화학자들은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컴퓨터 화면에 분자구조를 그려주는 프로그램들을 사용해 왔다. 이러한 모든 모형들의 공통점은 화학의 실제 대상들과 과정들을 근사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구성 요소들과 규칙들의 조합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도구-모형들과 계산화학에서 사용하는 이론-모형들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단지 정성적인 주요 특성들을 표현하는 데 머물지 않고, 실제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정량적 결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 략>
* Job Type
-Energy: 고정된 단일 geometry에서 에너지 및 파동 함수를 계산
-Optimization: structure의 최소 에너지 구성을 찾기 위한 계산
-Frequency: structure의 열화학적 특성 계산
-Opt + Freq: optimization과 frequency를 계산
-IRC: intrinsic reaction coordinate를 적분하여 반응경로를 따르도록 계산
-Scan: 단일 지점 에너지 계산을 수행하여 위치 에너지 표면을 스캔
-Stability: imaginary (negative) frequency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안정성을 확인
-NMR: NMR shielding tensors를 예측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