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영양장애,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 사전학습

목차

1. 영양장애 대상자 간호
2.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 유방,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1. 구강, 식도
1) 구강(Oral cavity)
구강의 저작 및 연하 기능을 담당하는 중추이다.
(1) 구조
연구개, 경구개, 혀, 치아, 치은(잇몸), 구강 점막
(2) 기능
저작
– 제5뇌신경(삼차신경) 저작 기능에 관여한다.
–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여 식도 점막을 보호한다.
– 구강 내의 치아와 혀는 섭취한 음식물을 잘게 부순 후 인두를 통해 식도로 지나가게 한다.
타액 분비
– 타액선 : 설하선(sublingual gland), 하악선(submandibular gland), 이하선(parotid gland)
– 타액의 기능 : 음식물을 부드럽게 윤활제 작용한다.
– 타액의 효소 : 아밀라아제 – 탄수화물을 엿당으로 분해한다.
연하
– 저작으로 부드러워진 음식은 이두를 지나 식도로 넘어가게 된다.
– 음식물이 식도를 통하여 위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매번 다르다.
2) 식도(Esophagus)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1) 구조
– 길이 약 20cm, 지름 약 2.5cm인 관이다.
– 기도 뒤에 위치하며 가로막 식도 구멍을 거쳐 위와 연결된다.
– 상부식도 괄약근(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 : 식도 상부에 위치한다.
– 하부식도 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 식도 하부, 위와 연결되는 부위, 평소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식도 점막 보호한다. (이완불능증 질환 부위)
(2) 기능
– 화학적 소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 통과에 용이하다.

2. 위(Stomach)
1) 구조
(1) 근육으로 된 둥근 주머니로, 좌상복부(LUQ)에 위치해 있다.
(2) 분문부(cardia), 기저부(fundus), 위체부(gastric body), 유문부(pylorus)로 구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