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케이스 호지킨병(문헌고찰+간호과정3개)

목차

1. 사례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호지킨병(Hodgkin’s lymphoma)

1) 정의: 림프종이란 면역 세포가 종양으로 변하면서 체내 조절 작용과 상관없이 증식하는 질환이다. 즉, 림프종은 림프 조직에 발생한 악성 종양인 것이다. 림프종은 조직 형태에 따라 비호지킨과 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누어진다. 호지킨 림프종은 특징적인 조직 양상과 올빼미 눈을 닮은 특이한 암세포를 보이는 질환이다. 이는 주로 어린 나이에 발생한 후 수년에 걸쳐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서서히 자란다. 호지킨 림프종은 주로 림프계 내에 국한되어 발생하며, 하나의 림프절에서 시작해 옆 림프절에 영향을 미치고 점점 인접한 림프절을 타고 신체 전체 림프절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지닌다. 리드-세테른베르크세포(Reed-Sternberg cell)나 호지킨세포(Hodgkin’s cell)라는 이름의 대형 세포가 증식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은 B세포에서 유래하지만 T세포에서 유래하는 경우도 있다. 비호지킨 림프종보다 예후가 좋은 호지킨 림프종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발생률이 낮다. 2세 이하로는 거의 발병하지 않고 5세 이전에도 발병하는 경우가 대단히 드물다. 15~34세 사이와 54세 이후에 발생률이 가장 높으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발생률이 높은 경향이 있다.

2) 원인: 호지킨 림프종은 림프 세포 염색체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 이러한 종양을 일으키는 과정에는 한 가지 이상의 염색체 변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발병 원인에는 EB바이러스(Epstein Barr virus) 감염이 관여하고 있다. 호지킨 림프종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면역이 억제된 환자(AIDS, 면역억제 치료 중 등), 자가면역 질환 환자, 특정 약제(환경오염물질 등), 방사선 등이 있다. 가족 중에 호지킨병을 진단받은 사람이 있다면, 그 형제의 발병률은 보통 사람들보다 약 7배 높고 다른 직계 가족의 발병률은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난다. 이를 통해 유전적인 영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