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아동 IBD

목차

I. 문헌고찰
1. 개요
2. 정의
3. 발생빈도와 원인
4. 병태생리
5. 임상증상
6. 진단
7. 치료
8. 소아 염증성 장질환 치료와 성장 장애의 문제점
9. 국내 소아 염증성 장질환 발생률

II. 대상자 및 가족을 위한 교육
1. 대상자 및 가족
2. 가정
3. 학교
4. 지역사회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 염증성 장질환은 원인불명의 만성적인 염증이 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지칭한다. 이는 장의 면역 기능과 관련이 있고, 유전적 감수성, 환경적 요인, 정신적인 요인 및 기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주로 북미와 북유럽 등 서구에서 발생하는 질환이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발병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런 급속한 증가의 이유는 불확실하며, 다만 서구화와 산업화로 인해 바뀐 환경과 생황 요인이 발병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진단법의 발달로 인한 발견의 증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염증성 장질환은 세계적으로 약 500만여 명이 앓고 있는 질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0년 사이에 약 1.5~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적으로 위장관 내에 염증이 반복되어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며 심지어는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

1. 정의
: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이나 소장과 대장에 감염 또는 궤양을 야기하는 만성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hn’s disease, CD)을 포함한다. 궤양성 대장염은 결장과 직장의 점막층과 점막하층의 염증을 포함하고, 크론병은 위장관 전체와 장벽의 모든 층의 염증을 일컫는다.

3. 발생빈도와 원인
: 한때 아동과 사춘기에는 적게 여겨졌던 염증성 장질환은 현재는 이 연령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사실 궤양성 대장염을 앓는 개인의 20%와 크론병의 25~30%는 20세 이전에 나타난다. 가장 최고 발생시기는 사춘기 후기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