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카타스트로피의 개념
2.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등장
3. 탐구 결과
4. 느낀 점
본문내용
1) 카타스트로피의 개념
Concise Oxford Dictionary에 의하면, 그리스 어원 Kata는 ‘아래 혹은 하락’의 의미를 지니고, ‘strophe’는 ‘전환 혹은 변화’를 뜻한다. 즉, ‘카타스트로피 (catastrophe)’란 어떤 상태가 본래의 연속성에서 벗어나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독립 변수의 작은 변화가 종속 변수(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의 변동을 야기함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2)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등장
뉴턴이 미적분학을 발견한 후, 연속적인 운동에서 변화율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수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 현상, 인간의 행동, 생태계 형상들은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불연속적 현상의 한가지 예시로, 세포가 분열해 세포 덩어리가 되고, 알에서 올챙이, 개구리로 변화하는 개구리의 형태 형성 과정이 있다. 1961년 이를 관찰한 르네 톰은, 이를 수학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1972년 저서 《구조적 안정성과 형태 발생》을 통해 카타스트로피 이론(Catastrophe theory)을 처음 제시하였고, 마침내 1973년, 기하학적 방법을 토대로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완성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