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엥겔만
(1) 설명1
(2) 설명2
2. 엥겔만의 광합성 실험
(1) 광합성 실험
(2) 파장에 따른 흡수, 작용 스펙트럼
본문내용
설명 1) 1800년대 말 엥겔만(Engelmann)은 태양광을 프리즘으로 무지개처럼 분산 시켜 사상체 수생 조류인 스피로기라(Spirogyra)에 비추었을 때, 특정한 빛의 색깔이 비친 부분에 호기성 박테리아가 모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즉, 적색과 청색광이 비추인 부분에서 광합성으로 인한 산소발생이 많기 때문에 호기성 박테리아가 모임을 알 수 있었다. 단색광을 얻을 수 있는 필터나 대형 모노크로메이터(monochromater)를 통하여 단파장의 빛을 스피로기라에게 주게 되면, 흡수된 광자수와 이 때 발생한 산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설명 2) 독일 식물생리학자. 베를린대학 교수를 지냈다. 산소농도가 높은 곳을 향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습성을 가진 세균을 녹조류인 수면(水綿)과 함께 현미경에 놓고, 가는 광선으로 수면을 국소적으로 비추면서 세균의 행동을 관찰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