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실습, 사례연구보고서, 모자보건사업, 임신과관련된지식부족

목차

1. 서론
1)연구의 필요성

2. 본론
1)문헌고찰: 모자보건사업
2)간호사례
3)사정도구
4)간호진단
5)우선순위설정
6)목표설정
7)방법및수단의선택
8)계획및평가

3.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 모자보건사업
우리나라 「모자보건법」에서 모자보건사업이란 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모성의 생식건강 관리와 임신·출산·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을 말한다.
모자보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건강한 자녀를 낳게 하고 아동의 경우 성장과정부터 평생 동안의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건강한 출발의 보장을 통하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국가나 지역사회 보건 분야의 지표로 활용되는 만큼 평생건강의 기틀이 된다.

<중 략>

2) 사례
이00님은 34세의 임신 4개월(16주)인 여성으로 5년 전 결혼을 하였고, 00광역시 A구의 한 아파트에서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 해당 부부는 딩크족으로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영위하면서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아온 맞벌이 부부였다. 하지만, 해당 여성은 계획되지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고 경력단절을 겪게 되었다. 남편은 직장 근무로 인해 아침 일찍 나갔다가 저녁 늦게 귀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00님은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고, 부부는 임신 준비 및 출산 예정에 대해 지식 부족 상태를 보이고 있다. 부부의 말에 따르면 사회적 위치 불안정, 여성 경력단절 및 복귀 불확실, 경제적 부담감, 부모 역할에 대한 부담감 등이 걱정된다고 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미래 계획이 틀어질까 걱정하며 불안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00님은 갑작스런 일상생활 변화로 인해 지인들과의 교류가 적어졌고, 실내(집)에서만 활동하여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