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 자궁선근증 환자의 복강경자궁전절제술

목차

Ⅰ. 수술환자 기본정보
1. History

Ⅱ. 수술 관련 정보
1. 자궁 Uterus
2. 자궁선근증 Endometriosis of uterus란?
3. 복강경 전 자궁절제술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란?

Ⅲ. 수술정보
1. 수술기구 및 장비
2. 수술 과정
3. 수술 중 간호

Ⅳ. 회복실간호
1. 회복실 간호 (ARCCC 측정 포함)
2. 병동에서 수술 후 합병증
3. 병동에서 수술 후 나타날 증상
4. 간호중재 및 의학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의
자궁근층 내에 비정상적으로 자궁내막의 선과 간질이 존재하여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육안적 소견은 자궁의 크기가 약 60% 비대되어 있다. 무게는 대개 80~120g 이다. 소결절은 없으며, 자궁벽이 전체적으로 비후되어 있고 전벽보다 후벽에 호발한다.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국소적으로 발달되어 불규칙한 모양의 근층 비대가 동반되어 자궁근종과 감별하기 어렵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 2 번의 출산 경험이 있는 대상자이다. 수술 소견에 의하면, 대상자의 경우 임신 16~18 weeks 정도의 size였으며, 무게는 550gm 이었다.

 증상
증상은 전형적으로 40대에서 50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1/3 정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 빈혈을 동반하는 생리 과다와 생리통
– 비정상적 자궁출혈과 월경 후 출혈이 오래 지속
–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
– 내진 시 전반적으로 커진 자궁의 촉진
– 불임증
⇒ 대상자의 주호소는 월경통이다.

 원인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것과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 있다.

 진단
생리 과다 또는 생리통을 호소하는 가임기 여성에서 내진상 자궁이 커져 있거나, 질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잠정적으로 자궁선근증이 진단된다.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생리통의 다른 원인들로는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골반 내 유착, 골반 감염, 폴립, 선천성 자궁기형, 자궁경부협착 등이 있다.
⇒ 외래초진에 의하면 대상자의 경우 2022/02/26일 우측 및 좌측 난소에 낭종이 발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검사
골반 내진, 질초음파, 골반 자기공명영상검사(MRI)를 통해 커진 자궁을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