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서론
Ⅱ. 문헌 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산과
2. 포괄적 사정 및 간호진단 도출
3.수술 후 시간경과에 따른 사정
4.임상병리 검사
5. 진단적 검사
6.수술전후 처치
7. 투여약물
8. 간호과정적용: 간호문제->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20세기 초반까지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들은 대부분 세균감염으로 사망하여 보편화되지 못했지만, 이후 수술기법, 마취과학, 항생제 발달등으로 인해 최근 우리나라의 제왕절개분만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이 WHO의 권고치(5~15%)보다 매우 높다. 2019년 우리나라의 통계를 보았을 때 제왕절개 분만은 전체 분만 형태 중 42.3%를 차지하고 있고 증가하게 된 요인은 난산 등의 원인 외에도 선행 제왕절개분만 대상자의 누적으로 반복 절개가 증가한다. 제왕절개의 합병증은 많이 감소되었지만 정상 질식 분만에 비해 모성 사망률이 높고, 입원기간의 지연, 의료비 상승, 모유수유 저해 및 모아애착관계 지연 등의 요인이 된다. 또한 제왕절개수술은 대수술이며, 창상감염, 자궁내막염, 비뇨기감염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번 분만실 실습을 통해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 진단 및 검사법, 수술 및 간호에 대해 살펴보고,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대상자를 선정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Ⅱ. 문헌 고찰
1.질병의 정의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이다.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 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9~45% 수준으로, 난산, 선행 제왕절개분만,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율 상승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의 차이점
구 분
자연분만
제왕절개
분만시간
초산부 8~12시간경산부 6~8시간
마취 후 10분 이내에 아기를 꺼내고 봉합한다.
수술시간은 40분~1시간 정도 소요
입원기간
출산 당일부터 2박 3일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