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1_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

목차

없음

본문내용

출력신호가 주파수 2㎑의 정현파인 어떤 센서의 출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입력임피던스 = 1㏁)로 직접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200㎷이었고 센서의 부하로 10㏀ 저항을 연결한 후 10㏀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역시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100㎷이었다.
(A)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PSPICE로 그려서 제출한다.

Thevenin 등가회로에서 직렬로 연결된 전압원을 V, 저항을 R이라고 한다.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여 측정하였을 때, volt division에 의한 식으로 나타내면, V×1M/(1M+R)=200㎷, V×(10k∥1M)/(10k∥1M+R)=100㎷로 V=0.202V, R=10101Ω이다.

(B)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Function generator와 저항으로 구현하려 할때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가?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Ω이며 전면에 표시되는 출력전압은 50Ω의 부하가 연결되었을 때 이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의미한다.
Thevenin 등가회로와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이 같아야 하기 때문에,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은 V_AMPL=100㎷, Offset voltage = 0V, f = 2㎑로 설정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