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

목차

1) Eyestone의 모형

2) Jones의 모형
1. 사건인지 및 문제정의 단계
2. 결집과 조직화 단계
3. 대표단계

3) Cobb과 Ross의 모형
1. 외부주도모형
2. 동원모형
3. 내부접근모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Eyestone(1978)은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의제형성모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는 사회문제의 태동, 사회문제의 인지, 타 집단의 관여, 사회쟁점의 표출, 공중의제의 형성, 쟁점창도자의 활동, 공식의제의 형성, 정책결정, 그리고 정책집행 순으로 분류된다. 사회문제가 집단에 의하여 인지되고 다른 견해를 가진 집단이 관여하면 사회문제가 사회적 쟁점(이슈)으로 성립하고 더 많은 집단들이 계속 관여함으로써 공공의제의 이슈가 되고 이슈제기자(쟁점창도자)의 활동을 통해 공식의제로 발전한다고 본다.

여기서 사회문제란 “사회구성원의 인지나 신념 상에 나타나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광범위한 결핍감이나 불만족의 상태”를 말하며, 사회적 이슈란 “사회문제 중 그 해결방법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문제’를 의미한다. 공공의제는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이슈 가운데 정부의 정책적 해결노력이 필요하다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사회의제의 집합체를 말한다.
공식의제란 “공공의제 가운데 이슈제기자의 활동에 의하여 정책결정의 대상이 되어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의제“를 말한다.
결론적으로 Eyestone의 정책의제형성모형은 공공체계의 의제설정을 순환과정으로 설명하는 데 의의가 있는 것으로, 이는 사회문제가 집단에 의해서 인지되기 전에 문제의 태동기간을 인정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쟁점창도자들의 역할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