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Briefing Note
2. 진단적 검사
3. 약물요법
4.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
5. 가능한 간호진단 리스트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환아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 받은 5살 된 환아로 내원 2주 전 미열, 경미한 기침 증상이 있어 LMC에서 급성 세기관지염 진단받아 약을 복용하던 중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 증상과 구토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ER 통해 Adm 하였다. 환아는 기침을 한번 시작하면 잘 멈추지 않는 발작적인 기침(Paroxysmal cough)을 보였고, 기침 발작 이후 구토를 동반하며 끈적한 객담양상을 확인했다. 흡기 시에는 ‘흡’ 소리를 관찰되었다. 현재 환아는 1인실 격리 중이며, 항생제 Erythromycin 75mg을 투여하고 있다. 산소포화도는 96%였으나 발작적인 기침을 할 때는 88%까지 저하되어 nasal cannula로 O2 2L/분 적용 중이다.
환아는 3.2kg 만삭아로 자연분만에 의해 출생하였고 1녀 1남 중 둘째이다. 가족력이나 과거력에는 따로 특이사항이 없었다. 예방접종은 D-Tap 4차까지 접종했으며, 한달 전 키즈카페 방문했을 때 백일해를 앓던 아동과 한 번 접촉한 적이 있다고 한다. 입원 당시 vital sign은 BT 37.2, P 90, RR 32회, 키 106.5cm, 몸무게는 17kg으로 측정되었다. 내원 전 LMC에서 진해거담제 약을 처방받고 PO 복용 중이다가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밤마다 심한 기침을 하고 헛구역질하며 구토(vomiting)도 여러 번 했다고 한다. 내원 후 세균배양 검사결과에서 bordetella pertussis 균이 검출되었으며, 백일해균에 대한 PCR도 양성으로 나와 백일해로 확진되었다.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17.6 k/ul, 혈소판 550,000/mm3, C-반응단백은 25 mg/dL으로 감염상태임을 알 수 있다. 입원시 환아와 보호자에게 격리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1인실에서 보호자와 격리중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