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2. '-는 바람에'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경우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체계가 아니라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학습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문법 체계가 필요하다. 문법은 단어와 구, 절 등과 같은 문장의 단위 혹은 그와 같은 문장 단위들의 결합 규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장과 문법의 구조를 정확하게 습득하고 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표준화된 문법 체계와 더불어 기본적인 문법 항목의 선정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한국어 교육 현장을 살펴보아도 단일한 조사나 어미보다는 2개 혹은 그 이상의 문법적 요소 및 어휘 요소가 결합되어진 통합적 형태의 문법 항목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와 같은 통합적인 형태들 가운데에는 문법화가 이루어진 경우가 있고 문법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놓여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을 형태적으로 분석한 것은 한국어 교육에서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 한국어 교육의 경우 문법 표현에 대한 학습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문법 표현이라는 것은 복합적인 구성을 이루는 단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