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고관절증 질병 관련 내용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원인과 병태생리
: 고관절은 골반의 관골구와 대퇴골의 대퇴골두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변형성 고관절증은 관절의 노화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연골이 점차 마모되고 뼈가 드러나면서 변형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이 질환은 주로 40~50대 이후의 중년층에게 많이 발생한다. 노화의 부분적 현상이기도 하지만 선천적 관절이상, 관절외상, 비만으로 인해 과도한 하중이 관절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기도 한다.
(2) 일반적 증상 및 징후
: 변형 정도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상이 있는 쪽 다리가 반대편보다 짧아지며 한쪽 다리를 절고, 관절의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뼈와 뼈가 직접 닿아 심한 통증과 함께 소리가 날 수 있다. 이러한 통증,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 절뚝거리는 걸음걸이 등의 임상소견과 X-RAY 검사 결과로 진단 내리게 된다.
(3) 치료
1) 보존적 치료
: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보존적 방법을 적용한다. 비약물 요법으로는 과도한 고관절 사용을 금지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 수영, 사이클링과 같은 완만하고 규칙적인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 체중감량, 온열요법 적용, 보조기 사용으로 관절 부담을 경감해주는 것 등이 있다. 약물 요법으로 아세트아미노펜, 소염진통제, tramadol(합성 마약성 진통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골반 절골술
관절 보존 수술 중 하나이며 뼈의 위치를 바꾸는 수술로 골반 골에서 절골하여 비구의 위치를 바꾸거나 전위시켜 골두의 체중 부하 면적을 늘려주는 수술
퇴행성 변화의 진행을 늦추거나 막기 위해 시행
전자간골절술
대퇴골 전자간부에서 쇄기 모양으로 골절을 행하여 내반 또는 외반시키는 수술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