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아동간호학/CASESTUDY/생리적황달/간호과정2개/황달, 비효과적수유양상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입원 동기 및 주 호소
20**년 **월 **일 35+6wks, 2270g으로 태어난 000아기는 생후 3일 째에 육안으로 황달 관찰되어 TB 12.09mg/dL (jaundice)

대상자의 질병 소개:<황달 neonatal jaundice=고빌리루빈혈증>
1. 원인과 병태생리
적혈구가 분해되어 생긴 간접빌리루빈은 알부민과 결합 후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하여 담즙의 일부로 간에서 대사될 수 있도록 처리된다.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 그 후 담즙은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운반되어 배설된다.
신생아 황달(생리적 황달)은 생후 3~4일경에 아기의 피부가 밝은 오렌지 색이나 노란색을 띠다가 생후 7~10일경에 저절로 사라지며, 이는 정상 신생아의 60~80%에서 나타난다. 이 외의 황달은 병적 황달이라고 한다.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는 경우,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생후 2주 이상 황달이 지속되는 경우, 직접 빌리루빈의 수치가 올라가는 경우 병리적 황달을 의심한다.

2. 증상
: 눈 흰자위와 얼굴이 노랗게 변하고, 몸통과 사지까지 전신적으로 퍼질 수 있다. (황달은 머리->다리 방향으로 진행됨)
이 외 각 황달에 따른 체중감소, 탈수, 옅은 대변색, 담즙 정체 등의 증상이 있다.
핵 황달: 빌리루빈이 BBB를 넘어 뇌에 빌리루빈이 축적되면서 뇌가 손상
→놀람반사가 약하고, 아기가 잘 먹으려고 하지 않을 수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발달지연, 뇌성마비, 발작, 사망까지 초래될 수 있다.
→만삭아 기준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 이상일 때 발생할 수 있다.

3. 치료 및 간호
-생리학적 황달
‣황달이 의심되면 피부를 가볍게 눌렀다가 떼었을 때 피부색을 사정한다.
‣한랭 스트레스는 간접빌리루빈 수치를 증가시키므로 신생아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