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소화계통 리포트

목차

1. 소화계의 구성
2. 소화관 벽의 미세구조
3. 치아
4. 혀
5. 구강의 구조
6. 침샘
7. 식도
8. 위
9. 소장
10. 췌장
11. 간
12. 대장

본문내용

소화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다양한 기관들로 구성되며, 안정 시 가장 많은 혈액을 받는다. 무게는 골격계 다음으로 무거우며, 길이는 9m 정도이다. 궁극적인 역할은 영양분을 섭취하고, 남은 노폐물을 대변으로 배설하는 것이다.

1. 소화계의 구성 : 위장관 + 소화부속기관
소화계는 크게 (1) 위장관 혹은 소화관, (2) 소화부속기관 등으로 나뉜다.
순서 : 입 – 목구멍- 식도 – 위 – 십이지장 – 공장 – 회장 – 맹장 – 결장 – 직장 – 항문
● 결장 : 상행결장 – 횡행결장 – 하행결장 – S상결장
소화기관을 크게 나눈다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는데,
(1) 입에서 위까지 – 이곳의 중요한 목표는 음식을 잘게 부수어 흡수가 잘 되도록 함.
(2)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 잘게 부숴진 음식이 위액과 섞여 ‘걸죽한 우유’와 같은 형태인 “미즙”이 되어, 십이지장으로 넘어온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