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5) 간호
① 체액과 전해질 상태 관찰
– 체중 매일 측정: 옷을 다 벗기고 정확하게 측정함. 입원 시 체중을 재고 그 후 계속 같은 저울로 측정함.
– 섭취량, 배설량 기록 I/O Check.
– 소변 비중 관찰 : 소변의 농도로 비중이 높으면 체액의 부족을 의미함, 1.025 이상의 소변 비 중은 탈수를 나타냄. 급성기에 소변 비중은 4시간마다 측정함.
② 올바른 식이 제공
– 항상 끊인 물을 사용하고 생과일, 야채, 유제품, 얼음물이나 아이스크림, 빙과류, 육류, 해산 물을 피함.
– 구토와 설사가 심하지 않다면 보통의 식이를 제공하고 심한 구토와 설사 시에는 금식이나 수 화용액만을 제공함.
③ 급성 위장염 환아의 격리
– 전파의 위험성이 크므로 격리함.
– 손 씻는 방법과 분비물에 오염된 물건의 처리법을 교육.
④ 정서 간호
– 어린 영아에게 구강공급을 하지 않는 기간 동안 빠는 욕구는 감소되지 않으므로 공갈 젖꼭 지를 주거나 엄지손가락을 빨도록 하는 것이 아동의 정서에 좋음
⑤ 회음부 피부손상의 예방과 간호
– 잦은 설사로 인해 회음부의 피부손상과 구토로 인해 얼굴주위의 피부손상 위험성이 높음.
– 비누와 물로 회음부 주위를 부드럽게 닦아주고 완전하게 말림.
– 기저귀를 바꿀 때 불편해 하므로 보호용 연고를 도포해서 기저귀가 피부에 달라붙지 않고 대변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함.
<중 략>
5.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인 사식 및 자극적인 음식 먹지 않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보호자 say : 아이가 죽을 너무 싫어해서 그런데, 외부 음식 진짜 조금만 먹으면 안 돼요?“
-> 대상자의 반응 : 알겠다고 대답하였으며, 이후 외부에서 음식을 사서 먹지 않는 것을 관찰함.
사식을 제한한다.
– 자극적인 음식물 섭취를 제한한다.
밀가루 음식, 유제품을 제한한다.
<식단> 4/18
[아침] : 소아식 연식/유아식(1-5세). 소아죽
[점심] : 소아식 연식/유아식(1-5세). 소아죽
[저녁] : 소아식 연식/유아식(1-5세). 소아죽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