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복지법에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인권(A+인증)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정신간호학 실습

목차

1)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 제 2조(기본이념)
2) 제 5장 보호 및 치료- 입·퇴원 관련 법
3) 기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 제 2조(기본이념)
정신건강복지법은 정신질환의 예방 및 치료, 정신질환자의 권익 보장을 위한 정신건강 친화적인 환경조성에 필요한 제도적 기틀을 제시하고 있다. 정신간호사는 해당 법률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대학교병원 $$병동은 안정병동으로, 이성 간 신체접촉, 이성의 병실 출입, 그리고 병동 밖을 나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병동 내에서 환자들과 자유롭게 교류하고 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활동 프로그램이나 각종 여가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 계발이 가능한데, 이는 ‘정신질환자의 재활, 복지, 권리보장 및 정신건강에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 건강 증진 및 정신질환자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는 정신건강복지법의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에 부합한다. 또한 제 2조의 기본이념과도 부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