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종류
2. 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5. 간호
Ⅱ. 간호과정
1. 건강력
2. 신체사정
3. 신체검진
4. LAB
5. 검사결과
6. 약물요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은 중풍 또는 허혈성뇌졸중이라고도 부른다. 뇌경색은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동맥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중에서도 혈전성 뇌졸중과 색전성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의 80% 정도다.
1. 종류
1) 혈전성 뇌졸중(Thrombotic stroke)
동맥경화와 같은 동맥 자체의 이상에 의해서 동맥이 막히며 일시적인 언어손상, 편마비, 편측감각이상과 같은 전구증상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2) 색전성 뇌졸중(Embolic stroke)
색전이 대뇌동맥을 폐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색전의 흔한 원인은 심장문제이다. 비판막성 심방세동, 허혈성 심질환, 심근경색등이 있으며, 이 외의 다른 원인은 경동맥동이나 경동맥의 작은 동맥 분기점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덩어리가 원인이 된다.
 3) 일과성허혈발작(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 가역성 허혈성신경결손(RIND, 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al Deficit)
 TIA는 증상이 수분에서 몇 시간까지 계속될 수 있으나 24시간 내에 반드시 회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RIND의 증상은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3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
 이들은 일시적이고 국소적인 뇌혈류의 방해로 뇌혈관경련이나 일과성 전신고혈압을 초래하는데, 허혈성뇌졸중의 경고 증상으로 선행되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