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한국어 /ㄴㄹ/연쇄 복합어에서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의 설명
2. 교수단계 설정
1) 제시
2) 연습
3) 과제
4) 재교수
3. 수업모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ㄴㄹ/연쇄 복합어에서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의 설명
비음화와 유음화는 자음동화의 하나로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을 만나 비음 [ㄴ,ㅁ,ㅇ]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하고, 유음화는 유음이 아닌 소리가 /ㄹ/을 만나 유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비음화와 유음화의 유형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장애음의 비음화
(2) 유음의 비음화
(3) 순행적 유음화
(4) 역행적 유음화
이중 예외적으로 역행적 유음화 /ㄴㄹ/상황에서 한자어로서 의미의 분화가 있는 경우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비음화가 일어난다. 즉, 어휘에 따라 순행적 비음화[ㄴㄴ]와 역행적 유음화[ㄹㄹ]가 선택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어에는 /ㄴㄹ/연쇄를 가진 복합어 어휘의 순행적 비음화[ㄴㄴ]와 역행적 유음화[ㄹㄹ]의 표준 발음이 인위적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 어휘 사용 환경에서 화자들의 발음과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한국어의 비음화와 유음화와 같은 음운 현상은 /ㄴㄹ/연쇄 3음절 한자어나 외래어로 된 복합에서 주로 일어난다. 따라서 한자나 외래어에 익숙한 학습자와 한자어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학습자 등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비음화와 유음화 중 어떤 선택적 교체를 보이는지 알 필요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