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간전증 스터디케이스 (간호진단 2개, 자료꼼꼼함, A+자료)

목차

-문헌 고찰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동안 1㎏ 이상의 체중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혈압이 160/110mmHg 미만으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까지 자간증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① 혈압을 1시간마다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고혈압은 자간전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갑자기 혹은 점차적으로 발생한다. 중증 자간전증인 경우 혈압이 160/110mmHg 이상으로 높게 측정된다. 그러므로 혈압을 주의 깊게 사정하여 환자의 이상 징후를 파악한다.
②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자간전증에서 고혈압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갑작스런 체중 증가이며, 이는 조직 내의 수분 축적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체중은 임신 2기까지는 한 달에 1.5㎏, 3기에는 일주일에 0.5㎏씩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옷을 입고 체중을 측정한다.
③ IV로 수액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이론적 근거 : 혈관 수축 및 혈관에서 세포강 내로의 체액 이동으로 인해 혈액 관류가 감소한다. 저혈량증과 순환혈액량 증가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강이나 정맥을 통하여 수분을 공급한다. 구강 섭취가 가능할지라도 필요한 경우 약물 투여를 위하여 정맥을 통한 수액공급은 유지한다.
④ 폐음을 청진한다.
이론적 근거 : 임신성 고혈압으로 인해 폐의 간질액에 체액이 증가하면서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폐부종이 있을 경우 폐에서 수포음이 들릴 수 있다.
⑤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혈관에서 세포강 내로 체액이 이동함에 따라 혈류량이 감소하여 핍뇨가 발생할 수 있다. 시간당 소변량이 30㎖ 이상이거나 24시간 소변량이 700㎖ 이상이 정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