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플랫폼 형성과 유지의 조건
2. 플랫폼 형성 및 유지 조건의 충족 방법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세계경제포럼의 조사에 따르면 2019년 9월을 기준으로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에서 7개 기업이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들의 시가총액 총합은 5조 1,243억 달러 규모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경제포럼은 2025년경에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창출할 매출액이 전체 글로벌 기업의 매출액의 약 30%인 60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플랫폼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기차를 탑승하는 공간인 플랫폼에서 유래했으며, 사전적 의미의 플랫폼 역시 승객들이 기차역에서 열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하기 쉽도록 설치해 놓은 장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산업적인 측면에서 플랫폼의 의미는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면서 가치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 생태계 기반의 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시작하여 다양한 사업 분야로 확장한 아마존과 인터넷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와 스트리밍 플랫폼인 유튜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을 장악한 구글 등이 있다. 기존 기업들 또한 플랫폼 사업의 혁신이라는 위협과 동시에 플랫폼 사업의 기회를 탐색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플랫폼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플랫폼 형성과 유지를 위한 두 가지 조건과 이에 대한 설명, 그리고 자신이 속한 기업(조직)에서 플랫폼 형성과 유지를 위한 조건을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플랫폼 형성과 유지의 조건
(1) PASS 1 (Platform as a set of solution)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플랫폼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핵심 콘텐츠를 통해 높은 매력도의 플랫폼 콘셉트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달 음식 전문점을 모바일로 쉽게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운영자는 플랫폼 사업자이며..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