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케이스스터디 A+ 대동맥박리 (간호진단 과정 3개)

목차

1. Etiology
(1) 대동맥 박리

2. Assessments
(1) 신체검진
(2) 통증평가
(3) 내원 시 Assessment

3. Diagnostic studies
(1) Echocardiography (심초음파 검사)
(2) ABGA(동맥혈가스분석검사)
(3) 일반 혈액검사(CBC)
(4) 일반화학검사
(5) Antithrombin(항트롬빈)

4. Treatment (Intervention)
(1) 상행 대동맥 및 반궁 교체(Ascending aorta and hemiarch replacement)
(2) 대동맥 판막 치환술(aortic valve replacement)

5. Medication

6. Nursing Diagnoses
1) 우선순위

7. 참고문헌

8. 간호과정

본문내용

병태생리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 벽의 내막이 찢어져 혈액이 중막으로 들어가 내막과 외막이 분리되는 것이다. 대동맥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동맥으로, 외막-중막-내막으로 구분된다. 대동맥 내막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면 높은 대동맥 압력으로 인해 대동맥의 중막이 장축으로(길이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혈액이 찢어진 부분으로 들어가 대동맥이 진성 내강(true lumen, 원래 피가 흐르던 공간)과 가성 내강(false lumen, 박리로 인해 분리되어 새로이 생긴 공간)으로 분리된다.

관련요인 및 원인
– 대동맥 박리의 가장 흔한 원인은 오래 지속된 고혈압으로 인한 동맥벽의 쇠약
=> 대동맥 박리 환자의 2/3가 고혈압 앓고 있음.
– 대동맥 박리의 덜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 부상, 노화, 심장과 혈관의 출생 결함(대동맥 축착(협착), 동맥관 개존(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통로), 대동맥판 결함)

종류
Debakey A-1 : ascending, arch and descending => 수술
(내막 파열이 상행 대동맥에서 발생했으나 대동맥궁과 하행 대동맥도 침범)
Debakey A-2 : ascending => 수술
Debakey B-3 : descending => 우선 약물 치료

증상
– 통증(찢어지는 듯한 또는 잡아 찢는 듯하다고 묘사되는 급성 극심한 통증)을 경험한다.
– 저혈압, 쇼크 -> kidney blood 감소 -> acute renal failure
– brain blood supply ↓: 실신, 뇌사

진단검사
CT 혈관조영술,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또는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 등의 영상검사
=> 대상자는 광명 응급실에서 CT 검사 시행

Concept mapping

홍OO, 53/M, 2023. 10. 4.

Medical Diagnosis : Aortic dissection(대동맥 박리)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