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서론-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ⅰ 간호사정
가. 개인력
나. 건강력 (Health history)
다. 간호력
마. Review of System
바. 임상진단검사
1) 검사실 검사 (Lab)
2) 임상진단검사
사. 임상기록
1) 임상관찰기록
2) 수술
3) 최종진단명
4) 약물요법
ⅱ 간호진단
1) 의미있는 자료(사정자료묶음)
2) 간호진단 목록
ⅲ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환의 정의
자궁내막암이란, 가임연령 동안 생리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리혈이 되어 떨어져 나오는 조직인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세포로 이루어진 암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암이 자궁내막에 생겨 자궁의 근층으로 자라나가기 때문에 ‘자궁체부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과 서구적인 식습관으로의 변화, 폐경 후 호르몬 요법의 사용증가 등의 이유로 인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질환의 원인
자궁내막암의 75%는 에스트로겐 의존성으로, 내인성 혹은 외인성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왕력이 있는 경우이고 나머지 25%는 에스트로겐 비의존성으로, 발생 연령이 더 높으며 폐경 후, 마른 영성에게서 호발하는 위축성 자궁내막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이다. 미산부,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무배란성 월경장애에 의해 분비기에 이르지 못한 계속적 에스트로겐 자극, 비만, 고혈압, 유방암과 난소암의 가족력, 호르몬 요법이 에스트로겐 의존성 자궁내막암의 원인이 된다. 유방암 치료제 항에스트로겐 제제인 tamoxifen 사용 시, 자궁내막암 발병 위험률은 2~3배 증가한다. 또한 당뇨병도 자궁내막암의 발생률을 1.3~2.8배 증가시킨다. 자궁내막암은 일차적으로 폐경 후 여성에게서 발생하며 나이가 들면서 악성도도 함께 증가한다. 평균 60세에 발생하며 75%가 50세 이상에 해당된다. 40세 이전, 70세 이후에 발생하면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질환의 증상 및 징후
폐경 후 출혈, 폐경전기 반복적인 출혈 등의 비정상적 자궁출혈이 자궁내막암의 주요 초기 증상이 된다. 후기 증상으로는 점액 혈액성 질분비물, 골반통, 요통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경부협착이 있는 여성의 경우, 출혈이 없을 수도 있다. 폐경 후 출혈이 있는 여성의 10%는 자궁내막암이 원인이다. 출혈 다음으로 중요한 증상은 비정상 질 분비물로, 처음은 엷으나 곧 혈성으로 되는 질분비물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