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헌고찰
2. case study(대상자 사정, 영상의학과 결과, 투약, 임상검사 결과, pbl 맵핑, 간호과정)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 심장의 위치
–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① Apex(첨단부) :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 대동맥, 폐동맥의 시 작부위
② Base(심저) : 제 3늑간 부위 위치,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
2) 심장의 기본구조
(1)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
① 심외막(epicardium) : 장측 심낭과 같은 구조로 심장의 가장 바깥 층
② 심근(myocardium) : 선 모양의 근섬유로 구성, 심장의 수축 담당하는 중간층
③ 심내막(endocardium) : 내피조직으로 구성된 심장의 가장 안쪽 층
④ 심장은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음
⦁ 내측의 장측심낭과 외측의 벽측심낭 사이에 있는 심낭강에는 20~30mL의 심낭액이있어 윤활액 역할
⦁ 장측심낭 : 심장과 큰 혈관 일부를 싸고 있음
⦁ 벽측심낭 : 앞은 흉골의 검상돌기와 흉골벽, 뒤는 척추, 아래는 횡경막에 붙어 있음
(2)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 다시 위 아래의 심방, 심실로 나뉨
① 우심방
⦁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을 받음
⦁ 정맥혈은 상하대정맥과 심장의 관상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
② 우심실
⦁ 심장의 가장 앞쪽에 있는 구조로 흉골 바로 아래에 위치
⦁ 심실의 이완기 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