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예방 사업계획서

목차

1. 서론
1) 지역사회 특성
2) 지역사회 문제 진단
3) 정신건강사업 사업명 정하기
4) 이 사업을 계획하게 된 이유
5) 기대결과(목표)

2. 본론
1)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계획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특성
구미시(Gumi)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기초자지단체이다.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서울로부터 277km, 부산으로부터 167km 거리에 있으며, 면적은 615㎢로 경상북도 전체 면적의 3.2%에 달한다. 선산읍, 고아읍, 산동읍을 비롯한 3읍, 5면, 17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낙동강이 도심 중앙을 흐르는 도시이다.
현재 구미에는 1~5공단까지 38㎢의 국가산업단지가 있고, 고아·해평·산동농공단지와 각지의 소규모 공장 등 총 3천2백여개 기업체에 9만여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반도체, 휴대폰, LCD, 디스플레이 등을 비롯하여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 탄소소재, 광학 의료기기,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까지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2022, 구미시청)

(1) 총 인구
구미시 전체 인구수는 408,110명으로 경상북도 전체 인구(2,594,399명)의 15.7%를 차지해 도내에서 포항시 다음으로 인구 규모가 크다. 하지만 2018년(421,494명), 2019년(419,742명), 2020년(216,328,명) 2021년(412,581명), 2022년(408,110명)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총인구 중 남성 209.729명(%), 여성 197,658명(%)으로 남성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지역의 인구수는 315,247명(%)이고, 읍면지역 인구수는 92,140명(%)으로 동지역 인구수가 현저히 높다. (구미시, 2023년 2월 인구현황)

(2) 연령별 인구수
경상북도 연령별 인구구조는 유소년인구(0~14세) 10.6%, 생산가능인구(15~64세) 66.4%, 노인인구(65세 이상) 23.1%로 나타났다. 구미시는 408,179명 기준으로 유소년인구는 14.48%, 생산가능인구는 74.61%, 노인인구는 10.92%의 인구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내에서 생산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