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청소년 임부 케이스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1) 우리나라 출산율
2)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 추이
3) 필요한 자료 또는 문제점 파악

2. 본론
1) 문헌고찰 : 모자보건사업
2) 사례 : 키워드“임신 4개월(16주)인 여성”
3) 사정도구
4) 간호진단: Omaha 문제분류체계, NANDA 간호진단(2018~2020)
5) 우선순위 설정
6) 목표 설정
7) 방법 및 수단의 선택
8) 계획 및 평가

3. 결론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출산율
우리나라 출산율은 통계청의『2020년 출생통계(확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자료를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출생아 수는 0.84명, 합계 출산율은 272.3명으로 OECD회원국 중 최저수준을 기록하였다. 아래의 자료에서 나타나는 합계출산율(TFR, Total Fertilty Rate)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서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국제적 지표이다. 합계출산율이 높을수록 한 여성이 출생하는 자녀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산에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8년에는 0.977명으로 처음 1.0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이후 감소폭이 점점 커지는 추세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동요인으로는 양육비·집값 상승 및 고용불안과 같은 경제학적 요인, 결혼관·자녀관 변화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 코로나19의 영향 등이 있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1970~2021)』자료에 따르면, 2011년(329,087건)을 기점으로 현재 2021년에는(192,507건)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아, 위의 요인에 따른 혼인의 지속적인 감소가 출산율 감소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2)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 추이
앞서 보았듯이 우리나라는 2015년 이후 저출산 시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고령화도 함께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통계청의 『출생아 수(인구동향조사, 2011~2020)』자료와 『고령인구비율(2012~2020)』자료를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2020년 기준 272,337명으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반대로 고령인구비율은 2021년 기준 17.10%로 증가폭이 점점 커지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