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절대적 빈곤
1) 개념
2) 계측방식
2. 상대적 빈곤
1) 개념
2) 계측방식
3. 주관적 빈곤
1) 개념
2) 계측방식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절대적 빈곤
1) 개념
전통적인 빈곤개념인 절대적 빈곤은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수준, 다시 말해 최소한의 신체적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의 ㆍ 식 ㆍ 주를 가지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절대적 빈곤을 측정하는 방식에는 기본적 욕구방법이 있는데 이는 기본욕구와 다른 욕구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가, 음식비를 어떻게 산출할 것인가, 음식비의 지출 수준으로 빈곤선을 환원하는 방법 등에 쟁점이 있게 된다.
절대빈곤의 개념은 세계 최초로 과학적 사회조사를 실시한 부스(Booth)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최초로 빈곤선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그는 가난한 사람을 빈민과 극빈층으로 구분했으며, 빈민이란 규칙적인 수입이 있으나, 겨우 먹고 살 정도에 그치는 경우로 규정하였다.
부스를 이어 빈곤조사를 실시했던 라운트리(Rowntree)는 부스의 빈곤선 개념을 발전시켜 1, 2차 빈곤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1차 빈곤은 가구의 소득이 생물학적 효율성을 유지하기도 부족한 수준으로, 4가지 기초생필품(음식, 연료, 거쳐, 피복 등)을 구입할 능력도 안 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2차 빈곤은 4가지 기초생필품을 구입할 능력은 되지만, 소득의 일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나쁘게 쓴다는 것이 아니라 소득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용도가 도박이나 음주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주거이전, 노조조합비, 통근비, 등 불가피한 경우도 포함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