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I. 뇌수막염(Meningitis)의 정의
II. 빈도 및 예후
① 세균성 수막염
② 결핵성 수막염
③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III. 증상 및 징후
① 세균성 수막염
② 결핵성 수막염
③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막 자극 증상으로 나타나는 3대 징후>
IV. 진단검사
① 뇌척수액 검사(요추천자, Lumbar puncture)
② 그람세균염색 검사
③ 두개골 X-선, CT, MRI 스캔 검사
V. 의학적 치료
VI. 뇌수막염 아동 간호 방법
VI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뇌수막염(Meningitis)의 정의
뇌수막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연질막, 거미막, 경질막으로 구성된다.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하며 세균성, 결핵성, 무균성(바이러스성) 뇌수막염으로 나누어져 있다.
원인균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의 종류 및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균 규명이 중요(주로 뇌척수액 검사)
세균성 뇌수막염은 주로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es),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인플루엔자간균(Hemophilus influenzae) 등이 침투하여 발생하고, 결핵성 뇌수막염은 결핵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뇌수막염이다. 마지막으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소아의 경우 대부분 장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90% 이상은 Enterovirus에 의해 발생하며 Coxsackievirus와 Echovirus가 대표적인 Entertovirus에 해당
① 세균성 수막염: 수막구균, 폐렴연쇄구균, 인플루엔자간균
② 결핵성 수막염: 결핵균
③ 바이러스성 수막염: Enterovirus(Coxsackievirus, Echovirus)
*원인균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의 종류 및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균 규명이 중요(주로 뇌척수액 검사)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